북송된 탈북자들의 인권실태 (3) 2014/07/25admin (3) 한국 입국과정에서 인권 침해탈북자들은 한국으로 입국하기 위해 중국이나 동남아의 대한민국 영사관에 도움을 요청한다. 대한민국 영사관에서는 한국 정부와 연락을 통해 국군포로와 납북자의 한국행에는 도움을 주는... 더보기
북송된 탈북자들의 인권실태 (2) 2014/07/25admin (2) 강제송환된 탈북자 인권실태탈북자들의 강제송환 규모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매년 수천명의 탈북자들이 중국 공안에 의해 강제송환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03년 12월 6일 탈북난민보호운동본부는 중국 지린성 투먼구류소에... 더보기
북송된 탈북자들의 인권실태 (1) 2014/07/25admin 북한 내 탈북자 인권실태(1) 북한 정부의 탈북자 정책중국 정부는 북한과 1960년에 체결한 ‘조 · 중 탈주자 및 범죄인 상호 인도 협정(일명 밀입국자 송환협정)’, 1986년에 체결한... 더보기
통일문제에 적극적인 대학생들이 왜 북한의 인권과 탈북자문제에는 침묵하고 있는가? 2014/07/25admin 지금 세계는 이미 광역화의 흐름에 들어선지 오래다고 할 수 있다.서로의 이익을 위해 국가간의 연합, 즉 EU를 비롯한 각종 지역 공동체가 등장하고 있다.남한과 북한의 경우에도 이러한... 더보기
[법률] 법률적인 관점에서 본 통일문제 (5) 2014/07/25admin 5.탈북자의 인권문제지금 북한의 상황은 식량난과 전재의 위험 속에서 주민 대다수가 이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상황 속에서 남한으로 들어온 탈북자의 수는 1999년148명, 2000년312명,2002년1000명 이상으로 급증하고... 더보기
[법률] 법률적인 관점에서 본 통일문제 (4) 2014/07/25admin 4. 통일 전후의 법적 통합을 위한 준비남북 통일은 우리가 이루어야 할 민족사적 과업이다. 이러한 민족사적 과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마다 준비가 필용하고, 그리고 각 분야의... 더보기
[법률] 법률적인 관점에서 본 통일문제 (3) 2014/07/25admin 3.북한의 정권체제 수립과 북한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가에 대한 법적의의북한 정권체제 수립한반도의 이남에 미국에 의한 이승만 정궝의 수립으로 인한 자유민주주의국가로서의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었다면 이북에서는 소련의 의한 김정일... 더보기
[법률] 법률적인 관점에서 본 통일문제 (2) 2014/07/25admin 2.남한의 정권 체제의 수립과 군사적 실체에 대한 법적 의의남한 정권 수립우리는 여기에서 우선 미국에 의하여 남한의 첫 정부에 대하여 법률적인 면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이승만 정권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