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소 분석

정치범수용소 위치와 수용소 일과

북한정치범수용소 위치와 수용소 소개
북한체제 내에서는 정치범수용소를 ‘통제구역’ 특별독재대상구역, 이주구역 ‘정치범집단수용소’ 관리소 등으로 부르며 일반적으로 관리소라고 부른다.
이곳에는 반당, 반혁명분자, 등 체제위해분자 20여만 명의 사람들을 공정한사법절차 없이 집단 수용하고 있다.
이른바 적대계층 가운데 체제위해분자, 종파분자 반당 반혁명분자 과거의 지주, 친일파, 종교인, 월남자가족, 북송교포 탈북, 등 북한체제를 비판하고 자유세계를 동경 찬양한자 이들이 대부분 수감되어 있다.

1.북한정치범수용소의 위치
북한 정치범수용소의 위치
-제14호 관리소
평안남도 개천시 외동리
-제15호 관리소
함경남도 요덕군 구읍리
-제16호 관리소
함경북도 화성군 (명간)고창리
-제18호 관리소
평안남도
-제22호 관리소
함경북도 사을리
-제25호 정치범 교화소
함경북도 청진시 송평구역 송곡동
※ 북한에서는 정치범수용소 와 정치범교화소 노동교화소 등으로?나누어져 있다.


2.정치범수용소와 정치범교화소, 노동교화소의 수감절차와 차이

-정치범수용소는 사회주의체제를 반대하였거나 조국반역,(김일성 사상체제 위반하는) 행위를 행동으로 아닌말로써 비방했다고 인정되는 사람들로서 공정한 법적 절차가 없이 보내져 수용되는 곳이다. 또한 최근에는중국과 러시아, 동남아 등 해외를 통해 한국으로 귀순 하려고 했던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정치범교화소는 사회주주의 체제를 반대했거나 조국 반역, (김일성 사상체제 위반하는) 행위를 실질적으로 직접 행동으로 한 사람들로서 북한의 형사소송법 50 조 이하 조항에 적용된 대상자들이 수용되는 곳이다.
정치범교화소의 수감절차는 국가보위부 조사를 받은 후 북한의 법정에서 재판을 통해 형기를 받고 간다.
그들이 법정재판에서의 형기는10년 이상이며 거의 살 아서 못나온다고 인식하면 된다. 현재까지는 정치범교 화소에서 살아나온 사람은 한사람도 없는 것으로 알 려지고 있다.

-노동교화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형사소송법에 의 한 일반범죄(살인, 강도, 강간, 절도, 및 등)를 저지르고 재판을 받고 가는 곳이다.

3.북한의 각수용소의 규정
14호와 22호 수용소내의 규정은 동일함
아침일과
04.00시 기상
04.30~5.00시 아침식사
05.00 작업현장 출근
05.30~12시 오전작업
12.00~13.00시 점심식사
13.00~19.30시 오후작업
20.00~21.00시 저녁식사
21.00~22.00시 야간작업
22.00~23.00시 작업생활 및 하루총화
23.00~04.00시 취침
오전15분 오후15분씩 하루2번 휴식

15호 요덕 수용소내의 규정
아침일과
05.00시 기상
05.30~06.00시 아침식사
06.00 작업현장 출근
06.30~12시 오전작업
12.00~13.00시 점심식사
13.00~20.00시 오후작업
20.00~21.00시 저녁식사
21.00~22.00시 정치학습
22.00~23.00시 작업생활 및 하루총화
23.00~05.00시 취침
오전15분 오후15분씩 하루2번 휴식
화장실가거나 출퇴근 시 3인조나 5인조로 나누어같이 다녀야한다.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게하고 탈출을 막기 위해 만들어놓은 규정이다.

18호 북창 수용소내의 규정
아침일과
05.00시 기상
05.30~06.00시 아침식사
06.00~07.00 작업준비
07.00~12시 오전작업
12.00~13.00시 점심식사
13.00~20.00시 오후작업
20.00~21.00시 저녁식사
21.00~22.00시 정치학습
22.00~23.00시 작업생활 및 하루총화
23.00~05.00시 취침
오전15분 오후15분씩 하루2번 휴식
18호는 수용소가 워낙에 범위가 커 7개분소로 나뉘어?있다.

코멘트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