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내용

캐나다 ‘북한 인권의 날’ 기념 컨퍼런스 진행

북한민주화운동본부는 지난 9월 27일부터 10월 1일까지 캐나다에서 HRNK Canada와 함께 9월 28일 캐나다 정부에 의해 제정된 ‘북한인권의 날’을 기념한 북한국제인권회의를 주최했습니다.

<세부일정>
9월 27일 : 북한민주화운동본부 강철환 대표, 안명철 사무총장, 정광일 인권조사실장은 캐나다 신문사 ‘National Post’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기사 링크

인터뷰 후, 북한민주화운동본부는 북한내부 권력 변화가 북한인권 및 내부정세에 미치는 영향, 북한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방법 등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9월 28일 : 교민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이슨 케니 복합문화장관 겸 고용 및 사회개발장관, 크리스 알렉산더 이민국장관, 데블린 연방 하원의원이 참석해 현지로부터 성공적인 행사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케니 장관은, “북한인권문제는 명백한 범죄이며, 21세기에도 이런 범죄가 저질러지고 있다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캐나다가 북한인권의 날을 제정한 것은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앞으로 북한정권이 바뀔 때까지 노력할 것이다.” 라고 단호하게 입장을 밝혔습니다.

알렉산더 장관은 “북한에 올바른 정권이 들어서고 북한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캐나다 정부와 국민들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데블린 연방 하원의원(MP Barry Devolin)은 컨퍼런스가 매우 유용한 시간이었다면서, 북한인권은 우리 모두의 문제이므로 함께 해결해야 함을 촉구했습니다.

왼쪽부터 알렉산더 장관, 안명철 사무총장, 케니 장관, 강철환 대표, 정광일 실장

왼쪽부터 알렉산더 장관, 안명철 사무총장, 케니 장관, 강철환 대표, 정광일 실장

 

9월 29일 : 이정훈 북한인권대사와 간담회가 진행되어, 교민들은 북한문제 해결을 위한 NGO 활동의 효과, 젊은 세대의 북한인권에 대한 관심, 탈북자 보호를 위한 임시보호소 설치, 대량 탈북 시 교민사회의 적극적 지원방안구상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9월 30일 : 한인교회에서 정치범수용소 관련 증언을 진행했습니다.

10월 1일 : 국회에서 보수당, 자유당, 신민당 세 개 당의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한 의원초청 토론회를 함께 진행했습니다.

 

congress

 

토론회에서는 Romeo Dallaire 상원의원의 발제연설에 이어 Barry Devolin 의원(국회부의장) 사회로 Paul Dewar 의원(외무위 부위원장), 북한민주화운동본부 강철환 대표, 북한인권협의회 이경복 회장이 패널을 맡아 열띤 토론을 이어나갔습니다.

특히, Romeo Dallaire 상원의원은 자신이 유엔평화유지군사령관으로 Rwanda의 경험을 간단히 소개한 뒤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북한정권의 생존방식 즉, 핵무기와 공포통제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핵과 관련한 국제사회 개입의 한계와 정권에 대한 (경제적) 제재가 결과적으로 주민들에 대한 인간안보적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딜레마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또한, 폴 디와르(Paul Dewar)의원은 한국의 이산가족 문제와 북한인권 문제에 큰 관심을 표현했으며, 북한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사법적 개입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배리 데볼린(Barry Devolin)의원은 강철환 대표에게 한국 정부의 정책이 통일정책과 분단유지정책 중 어떤 것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는지 묻고, 폴란드와 루마니아 사례를 이용해 북한 내 정치범수용소 문제를 연구하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10월 2일 : 크리스 알렉산더 이민국장관(Hon. Chris Alexander)의 보좌관들을 만나 탈북자 및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캐나다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북한인권을 알리기 위해 숨가빴던 지난 6일 간의 일정 리뷰를 마치며, 마지막으로 함께 행사를 주관하며 수고해주신 북한인권협의회에도 감사의 말씀 전해드립니다.

 

 

코멘트 남기기